본문 바로가기

모카 스터디/React

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 -도커를 이용한 리액트 실행 - [John Ahn]

섹션 11 도커를 이용한 리액트 실행

챕터 설명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

 

 

도커란 무엇인가

 

맥에서 도커 설치하기

 

 

 

 

 

도커를 사용할 때의 흐름 감잡기

 

 

도커 이미지로 도커 컨테이너 만들기

 

 

 

도커 이미지 생성하는 순서

 

 

 

 

 

 

 

 

도커 파일 만들기

 

 

 

 

 

 

도커 파일로 도커 이미지 만들기

 

 

 

리액트를 위한 도커 파일 작성하기

workdir: 컨테이너 안의 어떤 경로에 (로컬의)파일들을 넣을것인지

첫번째 copy

두번쨰 copy  ./(로컬 내 전체 디렉토리)를    ./(컨테이너 디렉토리 /usr/src/app)으로 카피

 

생성한 이미지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접근이 안되는 이유(포트 맵핑)

3000(왼쪽) 로컬로 포트 접속을 요청하면 3000(오른쪽) 컨테이너 내부의 포트 3000으로 맵핑

 

 

 

 

 

EC2에서 도커 설치 및 실행

여기까지 도커를 설치하기 위한 설정 완료.

그리고 최종적으로 status를 확인해 보면

이렇게 active상태로 잘 나온다.